실습2 (LSB 기법)
LSB변조를 이용해서 데이터 삽입하는 방식
최하위 비트인 LSB를 변조하는 방법이다. 주로 JPEG, BMP 같은 24비트 이미지파일에 적용된다.
실제 이미지에 영향을 주긴 하지만 24비트(빨강 8, 초록 8, 파랑 8)가 하나의 색을 표현하기 때문에 이미지가 변조되어도 사람의 눈으로 알아채기 힘들다.
아래의 이미지에 'Hello_SWING!'이라는 단어를 숨길 것이다.
FF 를 1이라고 생각하고, FE는 0이라고 생각해서 LSB값을 수정해준다.
아래 사이트를 참고해서 알파벳의 이진수(Binary)값을 찾았다.
https://www.rapidtables.com/convert/number/ascii-hex-bin-dec-converter.html
ASCII text,Hex,Binary,Decimal,Base64 converter
None Space Comma User defined
www.rapidtables.com
Hello_SWING!
01001000 01100101 01101100
01101100 01101111 01011111
01010011 01010111 01001001
01001110 01000111 00100001
이것을 다시 헥스값(FF>1, FE>0)으로 바꾸면
FE FF FE FE FF FE FE FE
FE FF FF FE FE FF FE FF
FE FF FF FE FF FF FE FE
FE FF FF FE FF FF FE FE
FE FF FF FE FF FF FF FF
FE FF FE FF FF FF FF FF
FE FF FE FF FE FE FF FF
FE FF FE FF FE FF FF FF
FE FF FE FE FF FE FE FF
FE FF FE FE FF FF FF FE
FE FF FE FE FE FF FF FF
FE FE FF FE FE FE FE FF
8*12= 총 96바이트가 나온다.
<여기부터 다시..>
이제 이미지의 흰색(FF)부분에 FE를 섞어서 LSB변조를 한다.
좌-원본, 우-LSB변조 파일이다. 눈으로 보기에는 다른 점이 없다.
'SW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Chall Traning: LSB (0) | 2022.08.07 |
---|---|
스테가노그래피 01 (0) | 2022.08.05 |
defcon-Multimedia-파일에서 이미지를 찾아라! (0) | 2022.08.04 |
RC4 알고리즘 암호화 (0) | 2022.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