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 암호 모드
복수의 평문 블록을 어떤 방식으로 암호화할지를 정의하는 메커니즘이며, 5개의 주요 모드가 존재한다.
- ECB 모드 (Electric CodeBook, 전자 코드북)
- CBC 모드 (Cipher Block Chaining, 암호 블록 체이닝)
- CFB 모드 (Cipher FeedBack, 암호 피드백)
- OFB 모드 (Output FeedBack, 출력 피드백)
- CTR 모드 (Counter, 카운터)
EBC
Pros
-빠르다.
-병렬처리가 가능하다.
Cons
-패딩이 필요하다
-평문에서 반복되는 부분이 암호문에서도 반복된다.
-암호문 블록 삭제/교체에 의한 평문 조작이 가능하다.
-복호화 오류가 없는 재전송 공격이 가능하다.
=> 현재 사용하지 않음
CBC
Pros
-평문에서 반복되는 부분이 암호문에 반영되지 않는다.
-복호화 과정 병렬처리가 가능하다.
-임의의 암호문 블록 복호화가 가능하다.
Cons
-패딩이 필요하다
-암호화 과정 병렬처리가 불가능하다.
-암호문 블록 내 비트 단위 에러가 발생하면 현재 평문 및 다음 평문 블록까지 에러가 발생한다.
-약간의 복호화 오류가 있는 재전송 공격이 가능하다.
=> 사용권장
패딩이 불필요한 스트림 암호 방식
CFB
Pros
-복호화 과정 병렬처리가 가능하다.
-임의의 암호문 블록 복호화가 가능하다.
Cons
-암호화 과정 병렬처리는 불가능하다.
-암호문 블록 내 비트 단위 에러가 발생하면 현재 평문 및 다음 평문 블록까지 에러가 발생한다.
-약간의 복호화 오류가 있는 재전송 공격이 가능하다.
OFB
Pros
-키스트림을 미리 발생시켜 사전에 암/복호화 준비가 가능하다.
-암호화 구조 = 복호화 구조
-암호문 불록 내 비트 단위 에러가 발생하면 현재 평문에만 한정해서 에러가 발생한다.
Cons
-암호화, 복호화 과정 모두 병렬처리가 불가능하다.
-적극적 공격자가 암호문 블록 비트를 반전시키면 대응 평문 블록의 해당 비트가 반전된다.
CRT
Pros
-키스트림을 미리 발생시켜 사전에 암/복호화 준비가 가능하다.
-암호화 구조 = 복호화 구조
-암호문 불록 내 비트 단위 에러가 발생하면 현재 평문에만 한정해서 에러가 발생한다.
Cons
-적극적 공격자가 암호문 블록 비트를 반전시키면 대응 평문 블록의 해당 비트가 반전된다.
=>사용권장
'활동들.. > Incognito'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대수학 문제풀이 (0) | 2022.11.19 |
---|---|
스트림 암호 (0) | 2022.11.05 |
AES (0) | 2022.10.22 |
rec&일회용 패드&블록암호 (0) | 2022.10.12 |
Feistal Network 3R 그리기 (0) | 2022.10.12 |